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39

성배와 성혈 [ 5. 예수의 아내 ] 성배와 성혈 [ 5. 예수의 아내 ] 만일 예수가 결혼했다면 복음서속에는 그의 부인에 관해 어떤 암시들이 있는가? 언뜻 볼 때 두 명의 가능한 후보자들, 즉 그의 어머니 이외에 복음서속에서 그의 측근자들로 거듭하여 언급되고 있는 두 명의 여인들이 있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이들중 첫번째 여인은 막달라, 즉 더 정확하게 말하면 갈릴리의 미그달(Migdarl) 또는 막달라(Magdala)라는 마을 출신의 마리아이다. 네 복음서 모두에서 이 여인의 역할은 대단히 모호하며 고의로 불명료하게 다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마가복음과 마태복음의 기록에서 보면 그녀는 상당히 후에 가서야 비로소 이름이 언급되고 있다. 그녀가 등장하는 것은 십자가 처형 당시 유대에서이다. 그리고 그녀는 예수의 추종자들 중에 포함된다. 하지.. 2004. 1. 17.
성배와 성혈 [ 4. 예수의 결혼 ] 성배와 성혈 [ 4. 예수의 결혼 ] 복음서들을 불신하는 것이 우리의 의도는 아니었다. 우리는 단지 복음서들을 식별해 내려고 했을 뿐이다. 즉 가능성 또는 타당성 있는 진리의 어떤 단편들을 발견해 내어 그 단편들을 둘러싸고 있는 장식적인 틀로부터 그 진리의 단편들을 골라내고자 했을 뿐이었다. 더 나아가서 우리는 아주 정확한 성질의 단편들, 즉 예수와 막달라라는 여인과의 결혼을 입증해 줄 수 있는 단편들을 찾고 있었다. 그러한 증거들은 명백하지 않을 것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 증거들을 발견하기 위하여 우리는 글에 나타난 것 이외의 것을 알아내야 하며, 어떤 괴리들을 채워야 하며, 어떤 휴식과 생략을 설명해야 하리란 것을 깨달았다. 우리는 생략된 것들을 다루어야 할 것이며, 풍자들을 다루어야 할 것이며 .. 2004. 1. 17.
성배와 성혈 [ 3. 복음서들의 역사 ] 성배와 성혈 [ 3. 복음서들의 역사 ] 복음서들은 확인할 수 있고 구체적인 역사적 실제로부터 생겨났다. 그것은 억압의 실체였으며 시민적 사회의 불평의 실체였으며 정치적 불안의 실체였으며 끊임없는 박해와 간혈적인 반역의 실체였다. 그것은 지속적이고 에를 태우는 약속, 소망, 그리고 꿈으로 가득찬, 즉 의로운 왕이 나타날 것이며 영적 세속적 지도자가 나타나 자기 백성을 자유롭게 할 것이라는 소망과 꿈으로 가득찬 실체이다. 정치적 자유에 관하여서는 그러한 열망들이 66년과 74년 사이에 있었던 비참한 전쟁에 의하여 산산히 부서지고 말았다. 하지만 전적으로 종교적 형태로 변형된 그 열망들은 복음서들에 의해 영속화되어졌을 뿐만 아니라 강력한 새 힘이 주어지기도 하였다. 오늘날의 학자들은 복음서들이 예수의 생존시.. 2004. 1. 17.
성배와 성혈 [ 2. 예수시대의 팔레스타인 ] 성배와 성혈 [ 2. 예수시대의 팔레스타인 ] 1세기의 팔레스타인은 대단히 어수선한 곳이었다. 얼마동안 성지는 왕조적인 투쟁들, 피비린내나는 싸움, 그리고 때로는 전면적인 전쟁 등으로 가득 차 있었다. B.C 2세기에는 마카베 형제들에 관한 두권의 외경서들에 의해 기록되어 있듯이 다소 통일된 유대 왕국이 잠시 동안 수립되었다. 하지만 B.C 63년이 되자 그 땅은 다시 소용돌이 속에 휘말려 들었으며 정복될 위기에 놓여 있었다. 예수의 출생 50여년 전에 팔레스타인은 폼페이우스의 군대에게 함락되었으며 로마의 법률이 부과되었다. 그러나 그 당시 로마는 너무나 광대하였으며 로마 자신의 사건들로 골치를 앓고 잇엇기 때문에 직접적인 통치에 필요한 행정적인 조직체를 설치할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로마는 로마의 보호.. 2004. 1. 17.
성혈과 성배 - (1)왕족예수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독교'에 관하여 말할 때 마치 그것이 하나의 단일 종의 것, 즉 일관성 있고 동질적이며 통일되어 있는 실체인 것처럼 말한다. '기독교'가 그런 종류의 것이 아님은 말할 나위도 없다.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기독교'에는 여러 형태가 있다. 예를 들면 로마 카톨릭이나 헨리 8세에 의해 주도된 영국 성공회가 그것이다. 그 밖에도 기독교에는 16세기의 원초적인 루터교와 칼빈주의로부터 비교적 최근에 발전된 유니테리언주의에 이르기까지 개신교의 여러 다른 종파들도 있다. 제 7안식일 예수재림교와 여호와의 증인과 같은 많은 '극단론자들' 혹은 '복음주의적' 회중들도 있다. 그리고 하나님의 자녀들 및 문선명의 &#3.. 2004. 1. 17.
성배와 성혈 [ 2. 예수시대의 팔레스타인 ] 1세기의 팔레스타인은 대단히 어수선한 곳이었다. 얼마동안 성지는 왕조적인 투쟁들, 피비린내나는 싸움, 그리고 때로는 전면적인 전쟁 등으로 가득 차 있었다. B.C 2세기에는 마카베 형제들에 관한 두권의 외경서들에 의해 기록되어 있듯이 다소 통일된 유대 왕국이 잠시 동안 수립되었다. 하지만 B.C 63년이 되자 그 땅은 다시 소용돌이 속에 휘말려 들었으며 정복될 위기에 놓여 있었다. 예수의 출생 50여년 전에 팔레스타인은 폼페이우스의 군대에게 함락되었으며 로마의 법률이 부과되었다. 그러나 그 당시 로마는 너무나 광대하였으며 로마 자신의 사건들로 골치를 앓고 잇엇기 때문에 직접적인 통치에 필요한 행정적인 조직체를 설치할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로마는 로마의 보호를 받아 통치할 일련의 분봉왕들을 세웠다. 이 .. 2004. 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