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39

라엘과 대선사 약 2-3년전에 라엘이란 사람이 쓴 책을 봤다. 제목은 우주에서 온 메세지라는 책인데 1,2부로 나눠져 있고, 대략 내용은 이러하다. 프랑스인가? 스페인인가? 아무튼 라엘이라는 사람이 어느 산속을 걸을때 갑자기 우주인이 나타나서, "나는 너희를 창조한 사람이고, 너희들은 순전히 우리들의 과학에 의해서 창조된 것이다".. "성경에도 쓰여 있는 것을 너희는 너희 편할데로 "신"으로 받들어서 해석한 것이었다." 라는 내용 이었다. 그 이후 라엘은 두번째 우주인과의 만남에서 그들의 행성으로 가게 된다. 거기서 라엘은 성경상의 인물들을 만나게 된다. 모세, 예수, 엘리아 등등등.... 성경에 나오는 구절을 적당히 인용하기도 하고, 특히 에스겔서에서 나오는 기이한 현상등에 초점을 맞춰서(사실 여기에 비친 여호와의 .. 2004. 8. 3.
성배와 성혈 [ 16. 결론과 미래의 전조 ] 성배와 성혈 [ 16. 결론과 미래의 전조 ] 그러나 만일 일레로서 그리스도가 죽음으로부터 부활했다는 진술이 문자 그대로 이해되지 않고 상징적을 이해된다면 그 때에는 이해가 상충되지가 않고 그 진술의 의미를 해치지도 않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한 상징적인 이해는 그리스도인의 불사에 대한 소망에 종국을 고한다는 반론의 의미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기독교가 도래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 인류는 사후의 생명을 믿게 되었고 그 결과 부활사건은 불사에 대한 보증으로서 필요로 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지나치게 문자적으로 이해되어 교회에서 그대로 가르쳐진 신화가 갑작스럽게 c철저하게 거부될 것이라는 위험이 그 어느 때보다 오늘날 팽배해 가고 있다. 기독교 신화는 파괴되는 대신 한 번 쯤은 상.. 2004. 1. 17.
성배와 성혈 [ 15. 성배왕조 ] 성배와 성혈 [ 15. 성배왕조 ] 나그 하마디 문서에만 근거해서 판단해 보더라도 예수로부터 직접 이어진 혈통이 있으리라는 가능성은 상당히 타탕성이 있다. 소위 '영지주의 복음서들'중 어떤 것은 신약성서의 책들 만큼이나 커다랗게 그 진실성이 주장되었다. 결국 그것들이 명시적으로 건암시적으로 건 증거해 주고 있는 것들은, 즉 십자가를 대신 진 사람, 베드로와 막달라 사이의 계속적인 불화, 막달라와 예수 사이의 결혼, '인자의 아들'의 출생 등은 아무리 그것들이 논쟁의 여지가 있는 것들이라 하더라도 다루어지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우리는 역사를 다루지 않는 것이지 신학을 다루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예수 시대의 역사는 오늘날의 역사만큼이나 복합적이었고 다면적이었고 실용주의적이었.. 2004. 1. 17.
성배와 성혈 [ 14. 기독교가 금지한 비밀3 ] 성배와 성혈 [ 14. 기독교가 금지한 비밀3 ] A.D. 64∼74년의 반란이 있은지 약60년 후인 132∼135년에는 두 번째의 중요한 반란이 일어났다. 이러한 소요의 결과로 모든 유대인들은 예루살렘에서 공식적으로 추방되었으며 예루살렘은 로마의 도시가 되었다. 그런 첫 번째 반란이 일어났을 때조차도 성지에서 일어난 사건들은 왜곡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그후 200년 동안은 실제로 아무런 기록도 없는 셈이다. 실제로 그 기간은 여러 가지 면에서 소위 '암흑기'의 유럽과 다를 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유대인들이 예루살렘 밖엣이긴 하지만 그 나라에 여전히 남아 있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많은 기독교인들도 역시 그랬다. 또 에비온이라고 불리우는 유대 구역도 있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 2004. 1. 17.
성배와 성혈 [ 13. 기독교가 금지한 비밀2 ] 성배와 성혈 [ 13. 기독교가 금지한 비밀2 ] 콘스탄틴 이후 기독교 정통주의가 걸어온 길은 대단히 잘 알려져 있으며 훌룡하게 문서화되었다. 말할 필요도 없이 그 길은 '메시지 지지자들'의 최종적인 승리에서 절정에 달했다. 그러나 그 '메시지'가 서구 문명의 지침적이고 주도적인 원리로 수용되기는 했지만 전혀 도전을 받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몰래 도망쳤을 때부터 이미 그 가족의 주장들 및 그 가족의 존재는 강력한 호소를 발휘했던 것처럼 보일 것이다. 그 호소력은 로마의 정통주의를 크게 위협했다. 로마의 정통주의는 근본적으로 신약성서의 책들에 의존한다. 그러나 그 신약성서 자체는 4세기에 기원된 초기 기독교 문서들의 한 발췌일 뿐이다. 현재의 신약성서보다 더 먼저 씌어진 대단.. 2004. 1. 17.
성배와 성혈 [ 12. 기독교가 금지한 비밀1 ] 성배와 성혈 [ 12. 기독교가 금지한 비밀1 ] 물론 우리는 우리의 각본이 기존의 기독교적 가르침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보다 많이 연구하면 할수록 수세기에 걸쳐 유래된 그 가르침들은 고도의 발췌 편집으로 그럴듯하게 삭제되고 개정되었음이 그만큼 더 명백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신약성서는 예수와 그의 시대를 어떤 특권층 즉, 기 문제에 중요한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던--그리고 아직도 상당히 가지고 있는-- 어떤 그룹들과 개인들의 필요에 따라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을 손상시키거나 난처하게 할 수도 있는 어떤 것은-- 예를 들면 마가의 '비밀 복음서'처럼-- 당연하게 삭제되었다. 사실 너무나 많은 것이 삭제되어 일종의 빈 공간이 생겨났다. 이 빈 공간에서는 추측이.. 2004. 1. 17.